본문 바로가기
FrontEnd/JavaScript

[JavaScript] var, let , const

by Geurim 2022. 6. 7.

JavaScript 에서는 변수를 선언하고 변수에 값을 할당하여 사용합니다.
변수 키워드 의 종류는 var, let, const 가 있습니다.

var

var 키워드 로 선언된 변수는 기존에 선언된 변수의 값을 덮어 쓰며(재 선언), 함수 스코프를 기준으로 동작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변수의 중복 선언이 가능하며 변수에 할당된 값이 변할 수 있어서 오류를 추적 하기가 힘들어집니다. var 키워드 를 함수 외부에서 선언할 경우에는 전역 변수로 취급됩니다.

let과 const 키워드는 var 키워드 와 다르게 재 선언이 불가능하고 블록스코프를 기준으로 동작합니다.

let

let 키워드 를 사용한 변수의 중복 선언은 불가능 하지만 재 할당은 가능합니다.

const

const 키워드는 선언과 초기화를 동시에 해야하고 재 선언과 재 할당이 불가합니다.(원시값의 재 할당은 불가능하지만, 객체는 가능합니다)

*변수의 스코프는 최대한 좁게 선언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var 키워드는 의도치 않은 버그를 발생시킬수 있기 때문에 let과 const 키워드 사용이 안정성 측면에서 권장됩니다.

var vs const vs let

그렇다면 어떤 키워드 를 사용해야 할까?

ES6를 사용한다면 var 키워드는 사용하지 않는걸 권장합니다.
재 할당이 필요한 경우에만 let 키워드 를 사용하고 변수의 스코프 는 최대한 좁게 만듭니다.
재 할당이 필요없는 상수 원시 값과 객체 에는 const 키워드 를 사용합니다.

변수를 선언하는 시점에는 재 할당이 필요할지 없을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객체는 의외로 재 할당하는 경우가 적기 때문에 변수를 선언할 때는 일단 const 키워드 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후에 재 할당이 필요할 때 const 키워드 를 let 키워드 로 변경해도 늦지 않습니다.

'FrontEnd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론트엔드 공부 로드맵  (0) 2022.06.07
[JavaScript] 프로퍼티와 내부메서드  (0) 2022.06.07
[JavaScript] 스코프  (0) 2022.06.07
[JavaScript] 함수  (0) 2022.06.07
git & GitHub  (0) 2022.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