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b2

[Web] DOM DOM ** DOM(Document Object Model)은 HTML 문서의 계층적 구조와 정보를 표현하며 이를 제어할 수 있는 API, 즉 프로퍼티와 메서드를 제공하는 트리 자료구조다.** 노드 HTML 요소는 렌더링 엔진에 의해 파싱되어 DOM을 구성하는 요소 노드 객체로 변환된다. 이떄 HTML 요소의 어트리뷰트는 어트리뷰트 노드로, 텍스트 콘텐츠는 텍스트 노드로 변환된다. 노드 객체들로 구성된 트리 자료구조를 DOM이라 한다. 노드 객체의 트리로 구조화되어 있기 때문에 DOM 트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DOM은 노드 객체의 계층적인 구조로 구성된다. 노드 객체는 종류가 있고 상속 구조를 갖는다. 노드 객체는 총 12개의 종류(노드 타입)가 있다. 이중에서 중요한 노드 타입은 다음과 같이 4가지다... 2022. 7. 13.
[Web] 브라우저 렌더링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 브라우저 환경을 고려할 때 더 효율적인 클라이언트 사이드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브라우저가 HTML, CSS, 자바스크립트로 작성된 텍스트 문서를 어떻게 파싱하여 브라우저에 렌더링 하는지 살펴보자. 파싱(parsing): 파싱(구문 분석(syntax analysis))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에 맞게 작성된 텍스트 문서를 읽어 들어 실행하기 위해 문자열을 토큰으로 분해(어휘 분석)하고, 토큰에 문법적 의미와 구조를 반영하여 트리 구조의 자료구조인 파스 트리를 생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파싱이 완료된 이후에는 파스 트리를 기반으로 중간 언어인 바이트코드를 생성하고 실행한다. 렌더링(rendering): 렌더링은 HTML, CSS, JavaScri.. 2022. 7. 13.